나무껍질만으로 나무검색 종류 알아내는 방법

By | 2025년 06월 05일

나무 검색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휴대폰 앱을 이용해서 사진을 찍어서 나무 검색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산림청에서 나무껍질(수피) 이미지를 공개한 만큼 이미 공개된 나무껍질 이미지와 사용자가 촬영한 나무껍질 이미지를 비교해서 나무 이름을 찾을 수 있는 기술이 많이 발달되었습니다.

산림청에서는 공공데이터만 공개된 상태이고 직접 앱 개발은 안한 것이 아쉽지만 네이버, 구글 같은 빅 테크 기업에서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 만큼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산림청 나무껍질 데이터 공개

산림청에서는 나무껍질(수피)만으로도 나무 종류를 검색할 수 있는 새로운 나무 검색 기능을 알아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직 앱이나 사이트로써 개발된 것은 없지만 오픈 API 형태로 공개되어 있는 만큼 개발자들이 개발을 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나무껍질만으로 나무검색 종류 알아내는 방법

41종의 나무껍질 데이터를 108,964건의 가공된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에 접속해서 나무껍질, 수피로 검색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나무껍질은 나무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나무를 분류할 때 중요한 인자가 됩니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에서는 초겨울과 이른 봄까지는 나무의 꽃과 잎이 없어 나무 종류를 식별하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나무껍질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다면 매우 좋겠죠.

나무껍질 데이터는 등산이나 수목 도감 등의 앱 개발뿐만 아니라 나무를 활용하는 산업현장과 연구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데요, 아직까지는 개발되어 있는 앱이나 사이트가 없는 만큼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36&mn=NKFS_04_02_01&nttId=3178838

관련자료는 산림청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무 검색앱에서 이름 찾기

나뭇잎이나 껍질만으로 나무 검색이 가능한 앱이 많습니다. 네이버, 구글, PictureThis 앱을 사용하면 됩니다. 특히 나뭇잎으로 나무 이름을 찾거나 나무껍질만으로도 나무 이름을 찾을 수 있습니다.

휴대폰을 이용해서 사진을 찍어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몇 가지 앱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PictureThis 앱

단순히 사진을 찍어서 나무의 이름을 찾을 수 있는 앱입니다. 사진을 촬영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나무의 종류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인데요, 나뭇잎으로 찾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습니다.

다만, 나무껍질로 찾으려고 하면 찾을 수 있기는 하지만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나뭇잎이랑 나무껍질을 모두 선택해서 검색하는 것이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검색된 나무에 대한 세부정보를 알 수 있는데요, 독성이 있는 나무인지 아니면 잡초에 속하는 나무인지까지도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나무를 어떻게 관리해야 되는지까지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앱을 사용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입니다.

PictureThis 앱
PictureThis 앱
검색된 나무 세부정보
검색된 나무 세부정보

네이버 앱

네이버 앱에서도 휴대폰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서 나무 검색이 가능합니다. 나무 이름을 잘 모르고 있을 때 활용하면 되는데요 아무래도 PictureThis 앱이랑 유사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겹치는 영향도 조금은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네이버 앱을 실행 -> 검색 버튼 누르고 -> 렌즈 -> 촬영 버튼을 순서대로 눌러주면 됩니다. 나뭇잎이나 나무껍질을 촬영하게 되면 자동으로 나무 검색이 가능합니다.

스마트렌즈 결과
스마트렌즈 결과

구글 앱

구글 앱에서도 세부적인 나무 검색 기능이 가능한데요, 나무에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을 사진 촬영만으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 앱을 실행해서 -> 검색 버튼을 누르고 -> 촬영을 합니다. -> 그리고 나무 이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유사이미지 찾기
유사이미지 찾기
구글렌즈로 꽃이름 찾기
구글렌즈로 꽃이름 찾기

나무껍질도 동일한 방법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100% 정확도를 가지고 나무껍질만으로 나무 검색을 할 수는 없습니다. 껍질의 모양의 세밀하게 촬영하였다면 보다 정확도가 높을 수 있겠지만 대충 촬영을 하게 되면 정확도가 매우 떨어집니다.

이점은 참고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도 나무검색이 가능합니다. 직접 나무 이름을 입력하게 되면 사진이나 상세정보까지 모두 나와 있기 때문에 이용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