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음으로 음독해서 찾는 방법은 한자 사전 어플을 사용하면 됩니다. 음독은 중국 발음을 기반으로 한 읽기 방식이기 때문에 한자를 중국발음 처럼 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한자를 찾는 방법인데요, 음독 방식으로 한자를 찾아도 되지만 훈독으로도 찾을 수 있습니다.
훈독은 한자의 의미를 일본어로 해석해서 읽는 방식인데요 일상적인 단어나 자연 관련 어휘에 많이 쓰이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한자를 말로써 읽어서 찾을 수 있는 기능은 한자사전 어플에서 소리로 찾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적극 활용하면 됩니다.
네이버 한자사전에서 음으로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에서는 마이크 기능이 있는데요, 마이크를 누르고 음독, 훈독 형태로 말을 해도 되지만 흥얼거리듯이 자연스럽게 음으로 한자 찾기가 가능합니다.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네이버 사전 어플을 먼저 실행합니다. 네이버 사전 안에는 국어사전, 한자사전, 영어사전 등 여러가지 사전 기능이 있는데요, 한자사전을 먼저 실행해줘야 됩니다. 한자사전을 실행하는 방법은 네이버 사전 어플을 실행해서 국어사전이 나타나면 우측 상단 ≡ 전체 메뉴를 누르게 되면 전체 서비스 보기 -> 최근 사용 서비스 -> 한자사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자사전이 실행되었다면 검색어 입력 아래쪽에 마이크 모양을 선택합니다. 그럼 마이크 버튼을 누른 채로 한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음으로 찾을 한자를 말하게 되면 한자가 검색 됩니다. 전체 메뉴를 누르게 되면 음 한자 뜻이 나타납니다.


한자의 부수, 총 획수, 획순 보기 등 추가적인 기능을 보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어 성어, 뜻풀이를 순서대로 눌러서 내가 찾은 한자가 어떤 단어이고 성어이며, 뜻풀이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네이버 한자사전을 통해서 내가 찾으려는 한자를 음으로 찾고 쉽게 뜻을 풀어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부수 모양 자라든지 어떤 학습자료로 사용되는지 학습 정보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한자사전 앱에서 음으로 찾기
다음 한자사전 앱에서도 음으로 한자 찾기가 가능한데요, 음으로 한자를 찾는 방법은 휴대폰에 있는 마이크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그럼 검색된 한자의 뜻과 함께 단어의 성질, 음까지도 모두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 사전 앱을 실행하게 되면 여러 가지 사전 목록이 나타나는데요, 한자사전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상단 단어, 문장 검색창을 누르게 되면 직접 키보드로 입력해서 음으로 한자를 찾을 수도 있지만 마이크를 사용해서 음으로 한자 찾는 것이 가능합니다.


마이크로 말하는 기능은 대부분의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기능이기 때문에 부담 없이 이용하면 됩니다. 마이크 사용이 안 된다면 키보드로 직접 입력해서 한자를 찾으면 됩니다.
찾은 한자에 대한 음/한자 뜻이 자세히 나타나게 됩니다. 한자의 획수, 부수, 난이도 등 세부적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하고 싶을 때나 아니면 잘 모르는 한자를 검색하고 싶을 때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자를 찾으면 되겠습니다.